건강정보

주식용어정리 대용금 증거금 미수금 예수금 반대매매

나이벤 2022. 6. 13.

증거금, 대용금, 미수금, 예수금, 반대매매 이런 용어들은 계좌정보에서 많이 보게 될 용어들이니 확실히 알고 시작하면 도움이 될 거 같아서 정리해 둔다.

예수금 증거금 대용금 미수금 반대매매 주식용어

 

예수금

  • 주식 거래를 하기 위해 계좌에 넣어둔 돈

우리나라 주식 매매 결제 방식은 3 영업일째 되는 날 결제가 되는 시스템이다. 그러므로'추정 예수금'을 같이 확인해야 한다.
추정 예수금은 D, D+1, D+2 이렇게 표시되어 있고, D는 D-Day로 '날'을 의미한다.
거래한 날(D), 그다음 날(D+1), 그리고 그다음 날(D+2)
3 영업일은 D+2가 되기에 이날 매수한 것의 결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월요일에 매수하면 주문은 체결되지만 수요일에 대금이 결제되는 시스템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면
계좌에 100만 원을 넣으면 100만 원은 예수금이 되고, 예수금 100만 원에서 70만 원치 매수하면 D+1까지 100만 원으로 표시가 되어있고 D+2는 결제가 되어 남은 금액인 30만 원이 표시된다.

 

주식을 팔 때도 위 내용이 똑같이 적용이 된다.
내가 오늘 100만 원치 주식을 팔아도 내일 당장 돈이 입금되는 것이 아닌, D+2일째(영업일 기준)에 매도한 금액이 입금된다. (월요일 매도 → 수요일 입금)

출금은 3일째 되지만 주식을 매도한 당일 다른 주식 매수는 된다.


증거금

  • 매수할 때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미리 예탁하는 보증금 개념 / 계약금

증거금률
삼성전자를 검색해 보면 증거금 20% 라고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종목마다 증거금률은 상이함)

ex)한 주에 6만 원, 증거금 20%인 삼성전자를 월요일 매수했다면

  • 월요일에 증거금률 20%인 12,000원이 결제되고, 수요일에 나머지 금액 48,000원이 결제된다.

D+2일 안에는 주식을 매도하거나 나머지 금액이 예수금으로 있어야 정상적으로 거래가 되며, 만약 예수금이 부족하게 되어 D+2일 안에 나머지 금액이 결제되지 못하면 내가 가진 주식 중 일부가 강제로 매도되는 일(반대매매)이 발생된다.

 


증거금률 적용방법

거래에 익숙하지 않다면, 100% 증거금률로 변경해서 미수거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게 거래하기 편하다.

증거금률 적용방법

키움증권 기준

[업무]→[계좌정보]를 순서대로 누르고 증거금률 변경으로 들어가면 위와 동일한 이미지가 나온다.

 

증거금률 100%로 변경하면 매수할 주식의 가격만큼 예수금(현금)이 100% 있어야 매수가 가능하다. 이 말은 미수거래를 전혀 하지 않겠다는 뜻이 된다.

 

스펙트럼 증거금(종목별 증거금)으로 선택하면, 종목의 증거금률에 따라 나의 증거금률이 변경된다.
삼성전자의 증거금은 20%이므로 20%의 금액만 있으면 매수할 수 있고, 녹십자웰빙은 증거금 40%이므로 40%만큼의 금액이 있으면 매수 가능하다.

 

스펙트럼 증거금 설정했을 때

ex) 예수금 100만 원, 종목 증거금률 20%, 1주에 10만 원짜리 주식

  • 1주당 2만 원만 있어도 해당 주식을 살 수 있으며, 50주 주문 가능

증거금 100% 설정했을 때

ex) 예수금 100만 원, 종목 증거금률 20%, 1주에 10만 원짜리 주식

      • 1주당 10만이 있어야 매수 가능하므로, 10주 주문 가능

대용금이란?

내가 보유한 주식을 담보로 사용할 수 있는 금액

 

보유하고 있는 전체 주식의 전일 종가 기준금액에서 70~80%선의 대용금이 형성된다. 쉽게 정리하면 내가 가진 주식을 담보로 다른 주식을 구매할 수 있다.

대용금 사용 시 주의할 점

대용금으로 거래 시, 거래일 포함 3일 안에 갚아야 한다. D+2일까지 대용금으로 산 주식을 팔거나 해당 금액을 입금하지 않으면 반대매매가 발생한다.


미수금이란?

미수금은 아직 거두어들이지 못한 돈 즉 외상 한 금액

미수금은 D+2까지 꼭 갚아야 하는 돈이다. 만약 갚지 못한다면 증권사에서 내가 매수한 것을 매도하여 회수하는데 이것을 '반대매매'라고 한다.

미수금 거래 막는 방법

증거금률 100%로 설정을 해두면 내가 가진 예수금 안에서만 투자가 가능해 미수금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반대매매

미수거래로 주식을 매수할 경우 D+2까지 입금하지 않으면 D+3일째 그 금액만큼 내가 가진 주식이 강제로 매도되는 것을 '반대매매'라고 한다.
반대매매를 하게 되면 보통 시장에 나오는 호가 가격 중 가장 낮은 가격으로 주식을 팔아버리기 때문에 큰 손실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댓글

💲 대표님들의 영역